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뇌출혈이라고 다 쓰러지지는 않아요 - 우리 남편 이야기
    카테고리 없음 2025. 5. 12. 18:00

    🧠 뇌출혈 후 사람이 쓰러지는 경우는 언제일까?

    1. 출혈이 갑자기 많이 생겼을 때

    • 혈관이 크게 터지면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피가 뇌 안에 퍼질 경우,
      뇌가 빠르게 압박을 받아 의식 실신과 함께 쓰러질 수 있습니다.
    • 특히 대량 출혈일수록 중증 의식저하가 동반됩니다.

    2. 출혈 부위가 뇌간 또는 깊은 부위일 때

    • 뇌간(호흡, 심박수, 의식 조절을 담당) 부위에 출혈이 생기면
      거의 즉시 의식을 잃거나 호흡이 불안정해질 수 있어 쓰러집니다.
    • 이런 경우는 생명 위협도 높습니다.

    3. 출혈로 인한 급격한 뇌압 상승이 있을 때

    • 뇌출혈이 발생하면 뇌 안 압력이 상승하고, 이 압력이 뇌 전반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면
      구역질, 구토, 어지럼증, 실신, 경련 등이 동반되며 쓰러질 수 있습니다.

    4. 출혈이 운동신경 부위에 영향을 주었을 때

    • 운동을 담당하는 뇌 부위에 출혈이 생기면,
      몸의 한쪽에 갑자기 힘이 풀리거나 마비되며 균형을 잃고 쓰러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쓰러지지 않아도 뇌출혈을 의심해야 하는 경우는?

     

    하지만 중요한 건, 모든 뇌출혈 환자가 쓰러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겉으로 보기엔 멀쩡해 보여도, 이미 뇌 안에서는 출혈이 진행 중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남편 역시 말도 잘 하고, 걸음도 이상하지 않았습니다.
    제가 보기에 처음에는 크게 이상한 점을 느끼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남편은 본인의 몸이  “무언가 이상하다”고 말하였고,

    표현하기 어렵지만 아주 미세하게 평소보다 "느림"이 느껴졌던 것 같습니다.

     

    그럼, 의식이 멀쩡해도 뇌출혈을 의심해야 하는  증상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 글자가 갑자기 잘 안 보이거나, 이해되지 않을 때

    – 단순한 시력 문제가 아니라 시각 처리 기능에 이상이 생겼을 수 있습니다.
    – 남편도 바로 이 증상이 첫 번째 신호였습니다.

    2. 말이 어눌하거나 단어가 헷갈릴 때

    – 말을 할 수는 있지만 어휘 선택이 어렵거나,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한쪽 팔다리에 힘이 없거나 감각이 이상할 때

    – 무겁고 저린 느낌이 들거나,
    – 자꾸 물건을 떨어뜨리는 등의 미세한 마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갑작스러운 두통, 어지럼증, 구역질

    – 특히 **“살면서 처음 느끼는 극심한 두통”**은 반드시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5. 얼굴이 삐뚤어지거나 표정이 어색할 때

    – 웃었을 때 양쪽 입꼬리가 비대칭으로 올라가거나,
    눈과 입 주변 근육이 잘 안 움직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미 뇌출혈이 발생해 입원한 환자라도,
    **2차 출혈(재출혈)**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의료진들이 입원 후에도 이러한 사항들을 주의 깊게 체크합니다.

    그래서 환자를 간호하는 가족이나 보호자도
    작은 변화라도 알아채고, 의료진에게 바로 알리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뇌출혈은 주변 사람의 판단도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1. 환자는 자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뇌출혈이 시작되면 뇌의 언어, 판단, 인지 능력이 서서히 흐려지기 때문에
        환자 본인이 “내가 이상하다”는 걸 잘 인식하지 못하거나,
        이상한 말을 하면서도 자기는 멀쩡하다고 느끼는 경우도 많습니다.
    2. 보이는 증상이 미묘할 수 있습니다
      • 말투가 살짝 느려졌거나,
      • 한쪽 얼굴 표정이 어색하거나,
      • 단어 선택이 이상한 정도스스로는 못 느끼고,
        옆에서 지켜보는 사람이 먼저 알아채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응급 상황을 대신 판단해줘야 합니다
      • 환자가 혼란 상태일 경우,병원에 가자고 설득하거나, 대신 의료진과 소통하고 판단을 내리는 역할결국 옆에 있는 보호자가 하게 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