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출혈이라고 다 쓰러지지는 않아요 - 우리 남편 이야기카테고리 없음 2025. 5. 12. 18:00
🧠 뇌출혈 후 사람이 쓰러지는 경우는 언제일까?
1. 출혈이 갑자기 많이 생겼을 때
- 혈관이 크게 터지면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피가 뇌 안에 퍼질 경우,
뇌가 빠르게 압박을 받아 의식 실신과 함께 쓰러질 수 있습니다. - 특히 대량 출혈일수록 중증 의식저하가 동반됩니다.
2. 출혈 부위가 뇌간 또는 깊은 부위일 때
- 뇌간(호흡, 심박수, 의식 조절을 담당) 부위에 출혈이 생기면
거의 즉시 의식을 잃거나 호흡이 불안정해질 수 있어 쓰러집니다. - 이런 경우는 생명 위협도 높습니다.
3. 출혈로 인한 급격한 뇌압 상승이 있을 때
- 뇌출혈이 발생하면 뇌 안 압력이 상승하고, 이 압력이 뇌 전반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면
구역질, 구토, 어지럼증, 실신, 경련 등이 동반되며 쓰러질 수 있습니다.
4. 출혈이 운동신경 부위에 영향을 주었을 때
- 운동을 담당하는 뇌 부위에 출혈이 생기면,
몸의 한쪽에 갑자기 힘이 풀리거나 마비되며 균형을 잃고 쓰러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쓰러지지 않아도 뇌출혈을 의심해야 하는 경우는?
하지만 중요한 건, 모든 뇌출혈 환자가 쓰러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겉으로 보기엔 멀쩡해 보여도, 이미 뇌 안에서는 출혈이 진행 중일 수 있습니다.실제로 남편 역시 말도 잘 하고, 걸음도 이상하지 않았습니다.
제가 보기에 처음에는 크게 이상한 점을 느끼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남편은 본인의 몸이 “무언가 이상하다”고 말하였고,표현하기 어렵지만 아주 미세하게 평소보다 "느림"이 느껴졌던 것 같습니다.
그럼, 의식이 멀쩡해도 뇌출혈을 의심해야 하는 증상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 글자가 갑자기 잘 안 보이거나, 이해되지 않을 때
– 단순한 시력 문제가 아니라 시각 처리 기능에 이상이 생겼을 수 있습니다.
– 남편도 바로 이 증상이 첫 번째 신호였습니다.2. 말이 어눌하거나 단어가 헷갈릴 때
– 말을 할 수는 있지만 어휘 선택이 어렵거나,
–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3. 한쪽 팔다리에 힘이 없거나 감각이 이상할 때
– 무겁고 저린 느낌이 들거나,
– 자꾸 물건을 떨어뜨리는 등의 미세한 마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4. 갑작스러운 두통, 어지럼증, 구역질
– 특히 **“살면서 처음 느끼는 극심한 두통”**은 반드시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5. 얼굴이 삐뚤어지거나 표정이 어색할 때
– 웃었을 때 양쪽 입꼬리가 비대칭으로 올라가거나,
– 눈과 입 주변 근육이 잘 안 움직이는 경우도 있습니다.이미 뇌출혈이 발생해 입원한 환자라도,
**2차 출혈(재출혈)**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의료진들이 입원 후에도 이러한 사항들을 주의 깊게 체크합니다.그래서 환자를 간호하는 가족이나 보호자도
작은 변화라도 알아채고, 의료진에게 바로 알리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뇌출혈은 주변 사람의 판단도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환자는 자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뇌출혈이 시작되면 뇌의 언어, 판단, 인지 능력이 서서히 흐려지기 때문에
환자 본인이 “내가 이상하다”는 걸 잘 인식하지 못하거나,
이상한 말을 하면서도 자기는 멀쩡하다고 느끼는 경우도 많습니다.
- 뇌출혈이 시작되면 뇌의 언어, 판단, 인지 능력이 서서히 흐려지기 때문에
- 보이는 증상이 미묘할 수 있습니다
- 말투가 살짝 느려졌거나,
- 한쪽 얼굴 표정이 어색하거나,
- 단어 선택이 이상한 정도는 스스로는 못 느끼고,
옆에서 지켜보는 사람이 먼저 알아채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응급 상황을 대신 판단해줘야 합니다
- 환자가 혼란 상태일 경우,병원에 가자고 설득하거나, 대신 의료진과 소통하고 판단을 내리는 역할은결국 옆에 있는 보호자가 하게 됩니다.
- 혈관이 크게 터지면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피가 뇌 안에 퍼질 경우,